본문 바로가기
코딩테스트

[Python] 백준 17204 : 죽음의 게임

by 예린lynn 2025. 1. 19.
728x90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7204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새내기들을 맞이하게 된 17학번 김영기는 두 학번이라는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새내기들과 친해지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 노력 중 하나는 바로 새내기들과의 술자리에 참여하는 것이다. 그러나 혼자 가기에 민망했던 영기는 동기 보성이를 꼬셔 같이 술자리에 참석했다. 새내기들과 같이 술을 마시게 된 영기와 보성이는 분위기가 가라 앉을 때쯤 The Game of Death라고 불리는 죽음의 술게임을 제안한다.

죽음의 게임의 룰은 간단하다.

게임에 참여하는 N명의 사람들은 원탁에 둘러앉게 된다. 게임을 시작하는 사람은 0번, 그 오른쪽 사람은 1번, 그 오른쪽은 2번, N-1번의 오른쪽 사람은 다시 0번이 된다.

0번이 "신난다! 아싸 재미난다! 아싸 더 게임 오브 데! 스!" 라고 외침과 동시에, 모든 사람들은 각각 테이블에 둘러 앉은 사람들 중 한 명을 지목한다. 그리고 나서 0번은 임의의 양의 정수 M을 외친다.

그 다음, 0번은 "1"이라고 말한다. 이때 "1"이라고 말한 사람이 지목한 사람은 "2"라고 말하고, "2"라고 말한 사람이 지목한 사람은 "3"이라고 말하고, 같은 방식으로 반복해 M까지 말하게 된다. 이때 마지막으로 M이라고 말한 사람이 지목한 사람은 벌주를 마시게 된다.

새내기에게 벌주를 마시게 하기에는 죄책감이 들었던 영기는 동기인 보성이를 공격하기로 결심했다. 게임 참여자들간에 지목을 완료한 상태가 주어질때, 보성이가 벌주를 마시기 위해 영기가 불러야 하는 가장 작은 양의 정수 M을 보성이 몰래 귀띔해 주도록 하자.

김영기는 게임을 제안하였기에 자연스럽게 0번이 된다.

입력

첫 번째 줄에 게임에 참여하는 사람의 수 N(3 ≤ N ≤ 150)과 보성이의 번호 K(1 ≤ K ≤ N - 1)가 공백을 두고 주어진다.

두번째 줄부터 N줄에 걸쳐 i(0 ≤ i ≤ N - 1)번 사람이 지목하는 사람의 번호 ai(0 ≤ ai ≤ N - 1)가 주어진다. 자기 자신을 지목하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출력

영기가 말해야 하는 가장 작은 양의 정수 M을 출력한다. 만약 어떤 방법으로도 보성이가 걸리지 않는다면 -1을 출력한다.


📌 문제 탐색하기

문제를 이해하고 규칙을 찾는데만 한참이 걸렸다...

 

1. 지목 횟수, 지목당한 사람 번호 카운트

2. 지목 횟수는 반복문마다 증가

3. arr[지목 사람 번호]===K 일 때, print(지목 사람 번호+1)

4. 3이 아니면,  지목하는 사람 번호===arr[지목 사람 번호]

5. 반복문 끝나도 충족 안 하면, print(-1)


📌 코드 설계하기

1. 입력값 받아오기

-> N,K= map(int, input().split())

-> arr= list(map(int,input()))   //배열이라 list()

 

2. for문

  -> 파이썬에서 반복문에서 0부터 n-1까지 반복할 때 range(n)을 사용하는 것 같다

  -> for i in range(N)


📌 시도 회차 수정 사항

[1회차]

  • 정말...말이 1회차지 계속해서 수정에수정에 수정을 했다.
  • 아무래도 파이썬이 익숙하지 않고 문제 파악을 잘 못했던거 같다.

      1. 주석 코드 실수

       -> 파이썬에도 당연히 주석이 // 이렇게 쓰일 줄 알았으나, #으로 사용을 해야만 했다.

      -> 이걸 모르고 계속 다른 코드들만 계속 고쳤다가 이 문제를 알았을 때 얼마나 허무했는지...

     

      2. 배열 입력값 가져오는 방식

        -> 처음에는 list(map(int,input())) 과 같은 방식으로 썼으나, 줄마다 반복해서 호출하게끔 해야 했다.

       -> arr = [int(input()) for _ in range(N)]

 

      3. 로직에 대한 이해 부족

        -> 입력값 순서대로 진행되는게 아니라, 지목하는 사람 번호에 따라 중복 호출될 수도 있는건데 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 정답 코드

import sys
input=sys.stdin.readline

N,K=map(int,input().split())
arr= [int(input()) for _ in range(N)]

point=0 #지목사람번호
M=0   #지목횟수

for i in range(N):
    M+=1
    if arr[point]==K:
        print(M)
        break
    point=arr[point]
else:
    print(-1)

 

해설 : https://whydevsaysno.notion.site/2fb5bf0c823d46c4b19c7c6ae19ceb5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