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12

5. 함수 함수 종류function 함수이름() {}  :  함수 선언문. 뒤에 세미콜론(;)을 안 붙이는게 관습const/let 함수이름 = function() {};  :  함수 표현식const/let 함수이름 = () => {};//예시 function f(x){ return x*x } const f= (x,y,z) => {x * y * z};  가변 매개변수 함수호출할 때 매개변수의 개수가 고정적이지 않은 함수배열 형태의 매개변수 사용함수의 매개변수 앞에 마침표 3개(...) 입력//기본형1 function ㅎ마수이름(...나머지 매개변수) {} //기본형2 function 함수이름(매개변수, 매개변수, ...나머지 매개변수) {} //예시1 function sample(...items) { .. 2024. 7. 7.
4. 배열 배열 요소 추가 / 제거 1. push() : 배열 뒷 부분에 요소 추가2. pop() : 배열 마지막 요소 제거3. unshift() : 배열 맨 앞 요소 추가4. shift() : 배열 맨 앞에 요소 제거 - 활용 코드let fruits = ['사과', '오렌지', '배'];alert( fruits.pop() ); -> fruits = ['사과', '오렌지'];alert( fruits.push('딸기') ); -> fruits = ['사과', '오렌지', '배', '딸기'];alert( fruits.shift() ); -> fruits = ['오렌지', '배'];alert( fruits.unshift('복숭아') ); -> fruits = ['복숭아', '사과' '오렌지', '배'];  spl.. 2024. 7. 7.
3. alert, prompt, confirm alert메시지 팝업 창을 띄우는 용도alert() 안에 들어가는 내용을 출력한다.사용자가 '확인(OK)' 버튼을 누를 때까지 메시지를 보여주는 창이 계속 떠있는다.alert (...);  prompt문자열 자료형을 입력할 때 사용하는 함수사용자에게 텍스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띄워줌과 동시에, 입력 필드를 제공한다.확인(OK)을 누르면 입력한 문자열을 반환하고, 최소(Cancel) 또는 Esc를 누르면 null을 반환한다.title : 사용자에게 보여줄 문자열default : 입력 필드의 초깃값.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기본형 prompt (title, [default]); //예시 const input = prompt('message', '_default'); let age = prompt('나.. 2024. 7. 7.
2. 변수 (let, var), 상수 (const) 1. 변수 (let)변수(variable)는 수식에서 변하는 값으로, let 키워드를 사용해서 변수를 생성한다.특정한 이름의 변수는 한 파일에서 한 번만 선언할 수 있다.선언 후 값을 변경할 때는, let을 사용하지 않는다.let 이름 = 값 var이전에는 변수 선언에  let 대신 var을 사용했었다.이때 var은 let과 달리 변수를 여러 번 선언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변수를 중복해서 선언할 수 있다는 위험성, 변수가 속하는 범위가 애매하다는 위험성 때문에 let으로 대체되었다. 2. 상수 (const)상수는 변하지 않는 수상수 선언 시 초기화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한다. 2024. 7. 7.
728x90